티스토리 블로그의 경우 타사(네이버,구글) 검색에 노출이 되지 않는데,
네이버나 구글에서 검색해도 내 블로그가 나오게 하려면 추가적으로 작업이 필요합니다.
* 제가 이해한 개념을 바탕으로 글을 작성했습니다 :)
혹시나 틀린 부분이 있다거나 수정할 부분이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사이트맵? RSS?
사이트맵(Sitemap) 이란?
사전적인 정의로 사이트맵은
"사용자 혹은 크롤러가 웹사이트를 이용할 때 웹사이트의 접근 가능한 페이지의 목록"
"웹 사이트의 정보를 한눈에 검색하기 위한
시각적 콘텐츠 모형. 콘텐츠 테이블 형태로 되어 있고,
주 검색 자료를 향해서 점차 내려가는 계층형이 보통이다."
을 의미합니다.
사이트맵의 형태를 보면 아래와 같은데,
내 블로그 정보, 카테고리들, 글, 마지막 수정일 정보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위의 정보들은 내 블로그 정보들의 고유한 주소입니다.
이 주소들을 네이버나 구글에게 '이거 너희가 검색할때 챙겨봐줄 내 블로그 정보들이야' 라고 주는 것을
'사이트맵 제출'이라고 표현합니다.
그러면 네이버와 구글의 검색로봇들이 웹에서 검색하다가 빠트리지 않게 챙겨주죠.
쉽게 말하자면,
네이버에서 '칼림바 추천'을 검색하면 네이버의 검색로봇은 '칼림바 추천' 이라는 키워드를 갖고 있는 글들을 쭈-욱 찾습니다.
그 글을 찾을 때 내 블로그 글도 검색될 수 있게끔 '내 블로그 글도 빼놓지 말고 봐줘!' 하는겁니다.
RSS 란?
RSS : rich site summary/really simple syndication
"업데이트가 빈번한 웹사이트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보다 쉽게 제공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XML 기반의 콘텐츠 배급 포맷"
사이트맵이 우리의 블로그로 가는 길을 검색 사이트에게 제공하는 것이라면,
RSS는 우리가 새 글을 올리면 우리의 글을 구독하는 사람에게 '나 이런 글 썼어!
라고 알림을 주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습니다.
일일이 내 글을 찾기 위해 검색을 하고 블로그에 찾아오고 하지 않아도
내가 새 글을 썼다는 것을 알려주는 기능을 한달까요!
새글보기 같은데서 보면 내가 가입한 카페, 구독한 블로그들의 새로운 글들이 올라와서 내가 그 글들을 볼 수 있도록 해주는데
그 기능을 RSS가 한다고 합니다.
자, 이제 우리의 길안내 지도를 만들어 네이버와 구글에게 줘봅시다.
미리 내 사이트맵의 주소 찾기!
이전에는 사이트맵 생성이라고 해서 어떤 사이트에 들어가서 사이트맵을 생성해서 그 사이트맵을 내 블로그에 넣어서 어쩌고저쩌고 작업을 해주어야 하는 일을 했는데,
이제는 티스토리에서 사이트맵을 자동적으로 생성해주는!! 그런 기능이 추가 되었다고 합니다!👏👏👏👏👏짝짝
그럼 사이트맵 주소를 알아보러 갑니다.
1) 티스토리 '관리' 페이지에 들어가서
2) 좌측 하단에 있는 '블로그' 클릭!
3) 스크롤 내려서 맨~~ 하단에 '사이트맵 주소' 가 보이시죠? 복사!
복사한 주소는 '~.tistory.com/sitemap.xml' 형태인데 이 url을 인터넷 검색창에 넣고 엔터를 쳐봅시다.
그러면
'This XML file does not appear to have any styl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it. The document tree is shown below.'
이런 문장 아래 <> 이렇게 되어있는 태그들이 잔뜩 있죠 그렇다면 성공!!
사이트맵 주소를 복사해두고 네이버와 구글로 가봅시다!
'AND > and sha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어공부, 넷플릭스 쉐도잉으로 하자! (0) | 2020.12.10 |
---|---|
[검색엔진최적화] 블로그 타사이트 노출하기 - 사이트맵, RSS 생성 및 등록(네이버) (0) | 2020.12.10 |
[검색엔진최적화] 블로그 타사이트 노출하기 - 구글 서치콘솔(플러그인) (0) | 2020.12.10 |
[2020내일로] 내일로 티켓 선택 3일권 사용법 (0) | 2020.12.10 |